한국 '해병 특검법' 韓 첫 시험대…최고위 구성도 관전 포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24

본문

닻올린 국힘 '한동훈號'


韓 "제3자 특검 입장변화 없다"

친윤계 "원내대표 의사 더 중요"


최고위원 9명 중 親韓 4명 확보

계파색 옅은 추경호 '캐스팅보트'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를 비롯한 신임 지도부가 24일 현충원 참배를 시작으로 공식 출범했다. ‘해병대원 특검법’은 한 대표의 리더십을 가늠할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한 대표는 전당대회 과정에서 자신이 제안한 제3자 추천 방식의 해병대원 특검법을 추진할지 여부에 대해 이날 “제 입장은 달라진 것이 없다”며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 반면 ‘친윤(친윤석열)계’인 김재원·김민전 최고위원은 “원내대표의 의사가 더 중요하다”는 취지로 발언해 새 지도부가 첫날부터 한 대표와 각을 세웠다.

○특검법 놓고 韓 견제 시작한 친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해병대원 특검법 관련 당내 여론을 취합할 것인지’ 묻는 말에 “제가 설득력 있는 논거를 밝혔고 그 과정에서 어떤 이점이 있는지 밝혔기 때문에 (향후) 절차를 통해 설명하겠다”고 했다. ‘제3자 추천 방식의 특검법을 발의할 것인지’에 대해선 “입장은 달라진 것이 없다”며 “그로 인해 진실 규명에 소극적이지 않냐는 국민들의 오해에서 벗어날 수 있어 새로운 제안을 제가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대표는 특검법 추진 의지를 재차 밝혔지만, 새 지도부 중 친윤계는 다른 목소리를 내며 견제에 들어갔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국회 운영에 관해서는 교섭단체 대표인 원내대표가 최고의 권한과 책임을 갖도록 당헌에 명시하고 있다”며 “당 대표와 원내대표의 의사가 다를 때는 원내대표의 의사가 우선시되고 최고 결정은 의원총회에서 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겉으로 보기에도 당 대표와 원내대표의 의견이 다른 것이 명백한데, 이런 경우에는 원내대표의 의견에 따라야 하는 것이 우리 당의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앞서 어떤 방식의 해병대원 특검법도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한 바 있다.


김민전 최고위원도 같은 날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특검법과 관련된 입장이나 검사를 어떻게 임명할 것인지 등은 원내 전략에 해당하는 것”이라며 “당 대표가 이래라저래라 할 얘기는 아니라는 게 기본적인 제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마 원내대표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고 부연했다.


한 대표는 이들의 이견에 대해 “우리 당은 민주주의적 정당이고 모든 사람이 의견을 낼 수 있다”며 “이견을 좁혀가는 토론을 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도부 인선은 어떻게

출범 첫날부터 지도부 내 불협화음이 나온 가운데 한 대표가 전권을 쥐고 꾸릴 당직 인선에 눈길이 모아진다. 당 장악력을 높이기 위해 ‘친한(친한동훈)계’를 전면 배치할 것이란 전망과 함께 일부 핵심 당직에 친윤 인사를 기용해 ‘탕평’ 메시지를 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우선 지명직 최고위원에 누구를 임명할지 주목된다. 의결권 방어 차원에서 원내외 여성·청년 중 한 대표에게 힘을 실어줄 ‘우군’을 고를 가능성이 높다. 최고위를 구성하는 9명 중 장동혁·진종호 최고위원을 친한계로 확보했지만, 김재원·인요한·김민전 최고위원은 친윤으로 분류된다. 당연직 최고위원인 추 원내대표는 친윤계로 분류되지만, 한 대표와도 가까운 편으로 알려졌다. 해병대원 특검법 등 주요 사안 의결 과정에서 추 원내대표 입장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정책위원회 의장은 현 정점식 정책위 의장의 유임 가능성이 거론된다. 경남 통영·고성에서 3선 고지를 밟은 정 의원은 검사 출신으로 윤 대통령과 가까운 대표적 친윤 인사로 꼽힌다. 정책위 의장에 임명된 지 2개월밖에 되지 않은 데다 대통령실에 관계 회복 신호를 준다는 측면에서 유임 카드가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교체 카드로는 3선의 김성원 의원 등도 하마평에 오른다.


당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사무총장엔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3선의 송석준 의원과 재선의 박정하, 배현진 의원 등이 거론된다. 이 밖에 친한 그룹의 김형동, 김예지, 정성국, 박정훈 의원 등도 주요 당직에 중용될 가능성이 거론된다.|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