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월급이 올랐어요, 이게 몇년 만이야”…입이 쩍 벌어진 日직장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8-07

본문

대기업 인상률 33년來 최대

일본제철 등 14% 넘게 올려

엔저따른 日국민 부담 끝날까 주목


실질임금 증가 지속은 불투명

중기 임금인상 추세 확산도 관건



경험해본 적 없던 고물가에 신음하던 일본 실질임금이 드디어 ‘상승전환’했다. 역대급 임금인상에 두둑한 여름 보너스, 최근 급브레이크에 걸린 엔저 완화 덕분이다. 지난달 31일 일본은행(BOJ)의 추가 금리 인상으로 엔화값이 강세를 띄고 있어 실질임금 상승 추세가 계속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6일 일본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6월 근로통계조사’(속보치)에 따르면 물가변동을 고려한 직원수 5명 이상 업체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1.1% 상승했다. 5월까지 2년 2개월 연속 하락하던 일본의 실질임금이 2년 3개월만에 상승전환한 것이다. 지난 3월부터 역대 최장 후퇴기록을 새로 써왔던 일본의 실질임금은 6월부로 기록을 마감하게 됐다.


명목 임금을 나타내는 1인당 현금 급여 총액은 2년 6개월 연속 늘며 4.5% 증가한 49만 8884엔(약 474만원)을 기록했다. 6월 일본의 소비자 물가지수(CPI)도 3.3% 올랐지만 명목 임금 상승세가 이를 웃돌았다.


일본정부 대변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임금 인상 움직임이 뚜렷해졌기 때문”이라며 “노동 생산성 향상도 전력 지원해 임금인상 실감이 확실히 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 6월 일본 정부는 올해 춘투 임금 협상 결과가 실질 임금에 반영되는 4월 통계부터는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해 연내에는 실질임금이 플러스로 전환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본 정부는 물가와 임금의 ‘안정적 선순환’을 유도하기 위해 기업들에게 임금 인상을 강하게 독려해왔다. 실제로 올해 일본 대기업들의 임금 인상률은 버블붕괴 직후인 1991년 이래 33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월 평균인상액은 1만9210엔(약 18만5000원)이었다. 지난해 보다 43%이상(5848엔·약 5만6000원)더 많은 것이다.

전날 게이단렌(經團連)이 발표한 2024년도 춘투 최종 집계에 따르면, 회원사들의 평균 임금 인상률은 지난해보다 1.59%포인트 상승한 5.58%였다. 1991년 5.6%를 기록한 이래 임금상승률이 5%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직원수 500명 이상의 대기업 135개사를 대상으로 집계했다.


업종별로는 철강(12.04%), 정보통신(10.15%)등의 분야가 특히 상승폭이 컸다. 지난해와 비교 가능한 16개 업종 중 화물 운송을 제외한 15개 업종에서 모두 지난해 상승률보다 높았다. 이번 집계결과에 대해 게이단렌 노동정책본부 닛타 슈지 본부장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지난해가 전환점이 었다면 올해는 임금 인상 유지 및 강화를 도모한 해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기업뿐 아니라 공무원들의 임금도 수십년 만에 최대치로 오른다. 일본 인사원은 올해 국가공무원 월급을 평균 2% 이상 올릴 방침이다. 국가공무원 월급이 증액되는 것은 3년 연속으로, 상승폭이 2%를 넘는 것은 지난 1992년 이후 32년 만이다.


하계 보너스에 따른 ‘반짝 효과’가 더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계 보너스가 포함된 ‘특별 지급 급여’는 7.6% 늘어난 21만 4542엔(약 203만원)으로 눈에 띄게 증가했다. 기본급이 포함된 소정 내 급여는 2.3% 늘어난 26만 4859엔(약 251만원) 이었다. 증가세가 2년 8개월 연속 이어졌으며 증가율은 29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다만 닛케이는 이 같은 기본급 증가세가 춘투를 반영한 것이나, 6월 상승률이 여전히 물가 상승세에 미치지는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흐름이 계속 지속될 지 지켜봐야 한다는 이야기다. 후생성 담당자는 “6월에 하계 보너스를 지급하는 곳들이 지난해 대비 늘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너스를 앞당겨 지급했는지, 새로 지급하는 곳들이 늘었는지는 알 수 없다. 7월 이후 동향을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내 고용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에서 임금 인상이 어느 선까지 이뤄질 지도 관건이다. 현재 임금 인상 흐름이 중소기업까지 확산되는 기미가 보이긴 하나, 가격 전가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4월 임금동향 조사에서 중소기업들의 경우 가장 많은 숫자가 올해 임금인상률로 3%대를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기업들은 5% 이상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물가를 반영한 가구의 실질 소비지출도 최근 2개월 연속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총무성이 발표한 6월 가계조사에서 2인 이상 가구의 실질 소비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줄었다. 다만 감소폭은 축소됐다.|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