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015년 초 두바이의 월세 증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5-05-03

본문


일부 지역 주거시설 가격 인하됐지만 년초 전체적인 월세 인하 예상은 틀린 것으로 입증
 
올해 첫 석 달 동안 월세는 예상과 달리 실제로 인하되지 않았다. 두바이의 수많은 세입자는 계속해서 월세가 올라 5.75퍼센트나 증가하는 것을 목격한 것으로 새로운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부동산 포털 사이트인 바유트 닷컴(Bayut.com)이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3BR 아파트의 월세는 2015년 1분기에 이전 석 달의 월세보다 평균적으로 5.74퍼센트 더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범주에 속하는 아파트의 연간 임대료는 현재 평균 215,000 디람이다.
1BR 아파트의 월세도 3.39퍼센트 올라 연간 임대료가 101,667 디람으로 증가했다. 이것은 작년의 98,333 디람 보다 3,300 디람이 늘어난 것이다.
"월세가 1분기에 전체적으로 인하될 것이라는 예상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확고한 주택 수요 때문에 많은 지역의 월세가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했다."라고 바유트 닷컴의 관계자가 밝혔다.
그 보고서에 따르면 2BR 아파트의 월세도 약간이지만 1.28퍼센트 정도 증가해서 연 평균 임대료가 158,333 디람으로 올랐다.
그 부동산 포털 사이트는 비록 주택 가격이 일부 지역에서 약간 감소했지만 일단 신규 주거시설들이 시장에 쏟아지면 폭넓은 월세 인하가 예상되는 점은 여전하다고 강조했다.
두바이 마리나의 2BR 아파트를 임차중인 알 마리오 씨는 새로운 주거시설을 찾고 있다. 그의 집주인이 오는 6월 임대계약이 갱신될 때 월세를 20퍼센트 올릴 것이라고 알려 왔기 때문이다.
"집주인은 지금의 월세가 여전히 RERA 임대료 산출표(Rera rental index calculator)의 범위 내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저희의 집세는 6월부터 연간 120,000 디람이 될 것입니다. 저희는 지난 5년간 이곳에 살았지만 그 어떤 배려도 없었습니다."라고 마리오 씨가 말했다.
"20퍼센트는 감당하지 못할 만큼 가파른 인상 비율입니다. 급료 인상은 운이 좋을 경우에도 연간 5퍼센트를 넘지 않습니다. 이렇게 치솟는 월세와 인근의 전차로 인해 매일 겪는 교통정체 때문에 이제 새로운 곳으로 옮겨야 할 것 같습니다."
데이라의 알 무티나에서 3BR 아파트를 임차중인 또 다른 외국인 데니스 씨는 얼마 전 자신의 집주인에게서 월세가 7월부터 15-20퍼센트 증가할 것이라는 안내문을 받았다고 말했다.
바유트 닷컴의 대표이사인 하이더 알리 칸 씨는 아파트 임차를 위한 수요가 많기 때문에 월세가 인상된다고 생각했다. 올해 완공될 것으로 예상되는 신규 주거시설은 아직 인도되지 않았다.
"월세 인상은 자연스러운 수요 증가 때문이거나 전년과 대비해서 근소한 물가상승 추세가 거의 모든 부문에서 예측되는 현실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라고 알리 칸 씨는 말했다.
"월세는 2015년 초 신규 주거시설이 공급되면 내려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그것이 아직 공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요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면서 임대료가 1분기 동안 계속 증가해 왔던 것입니다."
세계적인 부동산 중개 회사인 존스랑라살의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사(JLL Middle East and North Africa)에 따르면, 전반적인 월세는 상대적으로 변함없이 유지된 반면 아파트와 빌라의 판매가격은 약간 감소했다.
"월세는 상대적으로 변함없이 유지됐습니다. 저희는 주거시설의 평균 판매가격이 10퍼센트 정도 감소하면서 이 추세가 2015년 내내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라고 존스랑라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사의 조사 책임자인 크레이그 플럼 씨가 말했다.
"두바이의 부동산 시장은 올해 첫 분기에 가라앉은 상태를 계속해서 이어왔습니다. 주거시설 판매가격은 아파트와 빌라 모두 약간 감소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존스랑라살의 관계자는 판매가격이 월세보다 선행하는 것이 정상적이라고 말한 후 "이런 모습이 현재 두바이의 주거용 부동산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듯합니다."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월세 수익률은 증가하겠지만, 그것은 일시적 요인인 듯합니다. 좀더 만족스러운 수익률은 결국 주택구입 수요의 증가와 그로 인한 판매가격의 재차 상승으로부터 나올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