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대수명 OECD 1위···출산율 전망은 ‘꼴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2-16

본문

50년 후 기대수명 91.2세지만

출산율 전망 1.21명 최하위권

이대로면 100년 뒤 인구 1,431만명


오는 2070년에는 한국인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국민 가운데 가장 오래 살지만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는 가장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 자료를 보면 기본 시나리오에서 한국인의 2070년 기대수명은 91.2세(남자 89.5세·여자 92.8세)다. 2070년에 태어난 아이는 91.2세까지 살 것으로 기대된다는 의미다. 2020년 출생아의 기대수명(83.5세)보다 7.7년 길다. 통계청은 2065∼2070년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은 90.9세로 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노르웨이(90.2세), 핀란드(89.4세), 일본·캐나다(89.3세) 등을 앞지른다. 기대수명이 가장 짧은 아일랜드(82.0세)보다는 8.9년 길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지난 1970년 62.3세에서 1980년 66.1세, 1990년 71.7세, 2000년 76.0세, 2010년 80.2세, 2020년 83.5세 등으로 최근 50년간 21.2년이나 늘었다.


기대수명이 인구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라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높은 기대수명은 인구 감소를 더디게 하는 효과도 있다.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 이동을 모두 중간값으로 가정한 중위 시나리오에서 2070년 한국의 인구는 3,766만 명이다. 2020년 인구(5,184만 명)보다 1,418만 명 적다. 만약 출산율과 국제 이동 전망은 그대로 두고 기대수명 전망치만 낮은 값(89.8세)으로 바꾸면 2070년 총인구가 3,669만 명으로 100만 명 가까이 더 줄어든다.


통계청은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2024년 0.70명까지 떨어진 뒤 반등해 2070년에는 1.21명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만약 출산율이 2020년(0.84명) 수준으로 지속되면 우리나라 인구는 2070년 3,478만 명, 2120년 1,431만 명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전망했다.|서울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