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LF EU 러産 에너지 금수 검토… 英, 사우디·UAE에 증산 요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24

본문

에너지 의존 줄여 제재 효과 극대

EU 외무장관 회의서 논의 착수

러, 우크라서 화학 무기 사용하거나

수도 키이우 포격땐 현실화 밝혀

獨, 55% 러 가스 의존 낮추려

카타르 이어 UAE와 협력 추진

美도 '이란 핵합의 복원' 협의

석유 금수 풀어 에너지 대응 복안



유럽연합(EU)이 미국에 이어 러시아산 에너지 금수 조치에 대한 논의에 들어간다. 21일(현지시간) 외신들에 따르면 EU는 외무장관 회의를 갖고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금지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다.


EU 외교관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화학 무기를 사용하거나 수도 키이우에 집중 포격을 가한다면 에너지 금수 조치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발언해왔다. 이미 EU는 지난 3주 동안 러시아의 금융과 무역 분야에 제재를 가한 바 있으나, 러시아는 여전히 전쟁을 멈추지 않고 있다.


또한 오는 24~25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 EU 각국 정부 지도자들은 고갈된 천연가스 저장량을 다시 채우고, 가스 소매가격 부담을 덜어주는 긴급 조치에 합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브뤼셀 회의에 참석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EU와 에너지 안보 논의에 참여한다.


그동안 EU 국가들은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금지 조치에 대해 다소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EU는 천연가스의 40%와 원유의 25%를 러시아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특히 독일은 가스 수요의 약 55%를 러시아에서 수입해왔다.


■'탈 러시아' 합의 도출 미지수


리투아니아 등 발트해 국가들은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를 차기 제재로 밀고 있으나, 독일은 이미 유럽 내 에너지 가격이 높은 점을 들어 성급한 행동을 경계해왔다.


특히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불가리아의 경우 제재에서 빠지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불가리아의 유일한 정유공장은 러시아 루크오일 소유이며, 이 공장은 불가리아 내 연료의 60%를 공급한다.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와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등 남유럽 국가들은 가스 수입 가격 상한제를 포함한 긴급 조치를 희망하는 반면, 덴마크와 독일, 에스토니아,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들은 이에 반대하고 있다.


모든 EU의 제재에는 합의가 필요하다.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제재가 이뤄지려면 현재 의장국인 프랑스가 결정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수천 명이 사망하고 500만명이 넘는 난민이 발생했다면서 "우크라이나 내 상황이 악화된다면 제재에 금기는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프랑스 대통령실(엘리제궁)은 "이런 제재는 푸틴 대통령에게 새로운 계산을 강요하기 위한 것"이라며 "우리 파트너와 러시아의 교역국들 중에서는 석유와 가스에 민감한 나라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크롱) 대통령은 금기가 없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러시아산 에너지 금수 조치 도입에 대비한 대응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려는 독일이 카타르와 장기적 에너지 협정을 체결했다.


이날 도이체벨레(DW)에 따르면 카타르 도하를 방문한 로베르트 하벡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부 장관이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군주(에미르)와 회담한 후 에너지 확보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그는 "카타르가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독일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며 "비록 올해 러시아산 가스가 계속 필요하겠지만 장래에는 그러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타르는 액화천연가스(LNG)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로 지난해 기준 세계 2위 수준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독일은 그동안 가스 수요의 약 55%를 러시아로부터 공급을 받아왔으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가스 공급처 다양화를 추진해왔다. 하벡 장관은 카타르에 이어 수소 에너지의 허브로 탈바꿈 중인 아랍에미리트연합(UAE)도 방문해 협력방안을 찾을 계획이다.


■사우디·UAE 증산이 관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지난 16일 UAE와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세계 에너지 시장 안정을 위한 협력을 촉구했다. 존슨 총리는 사우디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UAE 실세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제를 만나서 대규모 원유 증산을 요청했다.


존슨 총리는 세계가 러시아 석유와 가스 의존에서 벗어난다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돈줄을 끊고 그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사우디와 UAE는 석유수출기구(OPEC) 회원국 중 원유 증산 능력을 갖춘 몇 안 되는 국가로 평가된다. 사우디와 UAE는 현재 하루 130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다.


OPEC과 러시아 등 비(非)OPEC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 회원국이기도 한 이 두 국가는 그간 합의한 양 이상의 증산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사우디와 UAE를 포함한 OPEC+는 지난해 8월부터 매달 하루 40만 배럴씩 소규모 증산하기로 한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 대응이 급하다고 해서 반체제 인사 탄압, 대규모 사형 집행 등의 사우디의 인권 문제를 눈감아주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존슨 총리는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 이후 서방 정상으로서는 두번째로 사우디를 방문했다. 지난해 12월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홍해 연안 도시 제다에서 빈살만 왕세자와 회담했다. 존슨 총리는 사우디의 인권 문제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 맞서기 위해서는 최대한 폭넓은 연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앞서 지난해 9~10월 제이크 설리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존 케리 기후변화 특사 등 중량감 있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 인사들도 사우디로 날아가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를 만났지만, 대대적인 증산 합의를 이끌지 못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018년 사우디 반체제 인사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의 책임을 물어 배후로 지목받는 빈살만 왕세자를 '투명인간' 취급해왔다.


최근 미국은 사우디의 최대 앙숙인 이란과 핵합의 복원을 추진해 합의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란의 석유 금수 풀어서 에너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사우디의 최대 국영 에너지 회사 아람코는 이날 장기적인 원유시설 투자계획을 밝혔다. 또 아람코는 오는 2027년까지 원유 생산을 1300만배럴로 늘리고 천연가스도 2030년까지 현재보다 두 배 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구체적인 단기 증산계획은 밝히지 않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파이낸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