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WTO: 중동, 정정 불안에도 불구하고 2025년 세계 무역 성장 주도할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10-16

본문

0bc55046cd6c8008394db5ca6d6fe75e_1729091801_1644.png
 

지역 분쟁으로 인한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도 중동은 2025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상품 수입 시장이 될 것이며, 수출 규모 또한 두 번째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무역기구(WTO)는 내년 세계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3%에서 3%로 하향 조정하면서 올해 아시아의 수출이 다른 어떤 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WTO 2024년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7%로 상향 조정했다.

WTO가 발표한 최신 격년 보고서세계 무역 전망 및 통계에 따르면 지역 분쟁, 지정학적 갈등, 각국의 정책 등으로 인해 세계 무역 전망은 더욱 어두워질 가능성이 높다.

 

2025년 아시아의 수출은 올해 다른 어떤 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하여 7.4%까지 증가할 것이다. 그 뒤를 중동(4.7%), 남미(4.6%), CIS 지역(4.5%), 아프리카(2.5%), 북미(2.1%), 유럽(-1.4%)이 이을 것으로 보인다.

수입 측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은 중동(9.0%)이며, 남미(5.6%), 아시아(4.3%), 북미(3.3%), CIS 지역(1.1%), 아프리카(1.0%), 유럽(-2.3%)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동 분쟁이 격화될 경우 다른 지역에서도 운송 차질과 위험 프리미엄 상승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 등의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WTO홍해 위기의 파장이 아직은 제한적이지만, 분쟁이 확산될 경우 다른 주요 해상 항로까지 마비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석유 생산에서 이 지역의 중요한 역할을 고려할 때 에너지 공급 중단 위험도 높아질 것이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경제 성장을 둔화시켜 무역에 간접적으로 부담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2024년 상반기 세계 무역은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이러한 반등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으로 인한 2023 1.1%의 침체를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2024년에는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세계 상품 무역 가치가 1.2% 감소할 것으로 글로벌 무역 연구 이니셔티브(GTRI)는 예측했다.

2023년 세계 상품 무역의 미국 달러화 가치는 5.0% 감소한 24 100억 달러가 되었지만, 이는 상업 서비스 무역이 9.0% 증가한 7 5,400억 달러로 크게 늘면서 대부분 상쇄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 간 거래를 기준으로 한 세계 전체의 상품 및 상업 서비스 수출은 2.0% 감소한 30 8,0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환율 기준 세계 실질 GDP 성장률은 2023년과 2025년 사이에 2.7%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2024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은 아시아로 4.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장 느리게 성장하는 지역은 유럽으로 1.1%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독일은 2분기 GDP 성장률이 소폭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WTO 보고서는 밝혔다.

이 보고서는 2024년에도 유럽이 글로벌 상품 무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수입과 수출 모두에서 성장을 둔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 급격한 수요 증가를 보였던 화학 제품을 중심으로 유럽의 수출 부진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보고서는 자동차 부문의 위축은 가치 사슬 전반에 걸친 잠재적 파급 효과로 인해 더 많은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유럽 수입에서 가장 큰 위축을 보인 것은 기계류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감소했다. 이러한 감소는 미국, 한국, 일본 등 지정학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들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어, 단순한 분열보다는 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인도와 베트남의 수입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아시아 지역의 수출은 한국, 중국, 싱가포르 등 주요 제조업 국가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수입 측면에서는 중국의 수입 증가세가 완만하게 유지되는 반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강력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