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집트 수주로 재시동 건 'K-원전'.."고준위 방폐물 시설 기술도 수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8-26

본문

이창양 "R&D 기술로드맵 통해 기술 확보, 수출시장 개척도 도모"

전문가들 "수출 위해선 국내 기술이 적정 수준까지 올라와야"


4e2aff0f91b50e97b3575d2107fb7891_1661508166_8309.png
 

정부가 3조원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자력발전 건설 프로젝트를 따내면서 원전산업 부흥에 대한 기대감이 감지되고 있는 가운데, 고준위 방폐물 관리 기술 확보 및 수출 추진에 나서기로 하는 등 'K-원전' 부활의 고삐를 바짝 죄는 모습이다.


다만 국내에서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기술이 적정 수준까지 올라와야 하는 만큼, 정부가 발표한 R&D 기술로드맵의 적극적인 이행과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6일 경주 원자력환경공단에서 개최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2단계 표층처분시설 착공식'에서 고준위 방폐물 처분시설을 확보를 비롯해 관련 기술개발(R&D) 등을 통해 수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축사를 통해 "고준위 방폐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원자력발전의 혜택을 누린 현(現)세대의 의무이자 책임인 만큼, 고준위 방폐물 처분시설 확보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고준위방폐물 관리 특별법을 제정하고 R&D 기술로드맵을 통해 관련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수출시장 개척까지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반응로에서 발생한 방사성 폐기물은 중·저준위와 고준위 방폐물로 구분해 처리한다.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공구나 작업복 같은 폐기물을 뜻하고,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원전에서 나오는 '사용 후 핵연료'와 같은 방사능 수치가 높은 핵폐기물을 일컫는다.


최근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원전을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하면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원전이 주요 전력공급원으로 활용되면 관련 시설 건설 및 운영 확대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핀란드는 2025년, 스웨덴은 2035년 고준위방폐물 처분시설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프랑스와 일본도 처분시설 운영을 계획 중이다.


다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등의 국가들은 주민들의 반발로 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등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이날 이 장관이 방폐물 처분시설 확보를 위해 법과 제도, R&D 등 전방위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힌 것은 본격적으로 국내에서의 안정적 원전 운영을 위한 방안을 확보함과 동시에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원전 강국'으로의 부활을 꿰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특히 3조원 규모의 이집트 원전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한 정부가 고준위 폐기물 처분시설 등 관련 기술에 대한 해외 수출 추진을 언급하면서, 국부창출을 위한 새로운 수출시장을 개척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엿보인다는 평가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0일 '고준위 방폐물 R&D 기술로드맵'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오는 2060년까지 37년간 총 1조4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정부가 고준위 방폐물 기술 확보를 위해 장기적인 로드맵을 구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국내 고준위 방폐물 관리 기술은 미국·스웨덴 등과 비교했을 때 운반 분야는 84%, 저장 분야는 80% 수준이다. 반면 부지와 처분 분야의 기술은 각각 62%, 57% 수준으로 아직 낮아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EU 등의 안전 기준에 적합한 용기 등을 개발한다면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우선적으로 부족한 부분의 국내 연구가 선행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력핵공학 교수는 통화에서 "안전 기준에 맞게 설계한 용기를 통해 한번에 저장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는 기술 등이 개발된다면 (수출) 가치가 있을 것"이라며 "고준위 방폐물의 적용 범위가 넓다면 수출도 용이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국내에서도 고준위 방폐물과 관련한 문제들이 산적한데, 아직까지는 우리가 수출할 기술 수준까지 되어있지는 않다"면서 "방사성이 차폐가 되는 등 튼튼한 운반 용기 개발 등이 (수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ㅣ뉴스1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