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美 연준의 딜레마…‘경기침체 대응이냐, 인플레이션 억제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본문

‘경기침체 대응이냐, 인플레이션 억제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일(현지시간) 연준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11월 정례회의가 시작됐다. 미국시간으로 2일 오후 2시, 한국시간으로 3일 오전 3시에 이번 기준금리 인상 폭이 결정될 전망이다.


시장은 연준이 11월에도 0.7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선물금리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폭을 가늠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페드워치는 1일 현재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을 83.5%로 보고 있다. 11월에도 0.75%포인트를 인상하면 올해만 네 번째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 3.0~3.25%에서 3.75~4.0%가 돼 미 금리 4%대 시대를 열게 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3.75~4.0% 금리 수준은 (연준) 정책입안자들도 실물경제에 더 큰 영향을 주기 시작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사실상 네 번째 자이언트스텝이 기정사실화 되는 가운데 시장의 관심은 연준이 12월부터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지 여부에 쏠리고 있다. 엔화가치 폭락, 중국 경제 불안, 유럽·영국 금융혼란 속에 연준에 ‘숨고르기’가 필요하다는 전방위 압력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연준 내부 사정에 정통한 언론들이 이번 FOMC 회의에서 12월 금리 속도조절에 대한 토론이 이어질 것이라고 보도하며 속도조절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미 각국은 급한 불을 끄느라 물가억제 노력과 동시에 시장 지원에 나설 수밖에 없는 딜레마에 놓여있다. 중앙은행이 시장 유동성을 회수하는 반면 정부가 긴급 유동성 지원을 하는 모순이 발생하는 것이다. 영국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는 동시에 긴급 채권 매입에 나섰고, 한국도 한국은행이 한미 금리 격차를 좁이는 동시에 정부가 자금경색에 긴급 유동성을 공급해야하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 10%대 고물가로 앓고 있는 유럽 역시 에너지 위기 속에 고금리 정책만 고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다고 금리를 그대로 두면 미국과의 격차가 커져 ‘강 달러’로 인한 부담이 가중된다.


카르멘 헤인하르트 하버드대 교수는 1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물가상승률 8%대이고 유럽은 10%대로 두 자리수를 넘은 상태“라며 ”각국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과 싸워야 하지만 동시에 각국 금융 불안을 잠재워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플레이션 고착화는 연준의 고민을 깊어지게 만든다. 1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미국 9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9월 미 기업들의 구인건수는 1070만 건으로 8월(1030만 건)보다 증가했다. 이는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훨씬 초과하고 있다는 뜻으로 임금 상승→물가상승으로 이어지는 미 인플레이션이 더욱 고착화 될 것이란 것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노동부 구인보고서 발표 직후 1일 뉴욕 증시가 하락세로 돌아섰다. 연준의 속도조절 기대감이 떨어진 것이다. 9월 미국 근원물가상승률도 40년 만에 최대치인 6.6%로 미국 고물가가 고착화되고 있다.


경기침체냐 물가억제냐 연준의 어려운 선택에 대해 시장의 전망은 엇갈린다. WSJ에 따르면 도이체방크, UBS, 크레디트스위스, 노무라증권 애널리스트들은 연준이 11월과 12월에 둘 다 금리 0.75%포인트를 인상할 것으로 본다.


반면 뱅크오브아메리카,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은 11월 0.75%포인트 인상, 12월 0.5%포인트 인상으로 속도 조절에 들어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결국 2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12월 이후의 향방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