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넷플릭스 ‘오만한 게임’... 망 이용료 한푼 안내면서 요금 17% 올렸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1-18

본문

망 이용료 한푼도 안내면서, 요금은 17% 올렸다


5aa3977d124bd39ba3728389c6926df5_1637252780_6152.png
 

국내 1위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OTT) 업체 넷플릭스가 월 구독료를 최대 17.2% 인상했다. 넷플릭스는 18일 요금 인상 계획을 발표하면서 “2016년 1월 한국 시장에 진출한 이래 가격 인상이 한 번도 없었고 콘텐츠 투자를 통한 서비스 수준 유지를 위해 요금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했다.


하지만 넷플릭스 요금 인상에 대한 소비자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넷플릭스는 ‘오징어 게임’의 세계적 흥행으로 1조원 이상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으며, 올해 3분기 순이익은 작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14억5000만달러(약 1조7000억원)를 기록했다. 한국 통신 3사의 영업이익을 모두 합친 것의 2배에 육박한다. 국내 통신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인 구독 서비스는 시간이 지날수록 혜택이 늘어나고 가격이 낮아진다”면서 “넷플릭스가 시장 지배력을 활용해 가격을 올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넷플릭스 “콘텐츠 투자 위해 인상…요금 상승 불가피”


넷플릭스는 18일 “이날부터 스탠더드 요금제는 월 1만2000원에서 1만3500원으로, 프리미엄은 월 1만4500원에서 1만7000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각각 12.5%, 17.2% 인상된 가격이다. 스탠더드는 넷플릭스의 주력 상품으로 2개 기기에서, 프리미엄은 고해상으로 4개 기기에서 시청할 수 있는 상품이다. 한 명만 접속이 가능한 베이직 요금은 기존 월 9500원의 가격이 유지된다. 이날부터 넷플릭스에 가입하는 신규 이용자는 변경된 요금을 내야 한다. 기존 가입자는 돌아오는 요금 청구일 이후부터 인상된 요금이 적용된다.


넷플릭스는 차별화된 콘텐츠 제작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논리다. 이달 4일 애플TV플러스에 이어 12일 디즈니플러스도 국내에 상륙하면서, 국내 OTT 시장 경쟁이 격화하고 상황에서 콘텐츠 확보를 위한 투자 비용도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넷플릭스는 광고가 없어 수익원이 구독료뿐이라, 요금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도 했다. 넷플릭스코리아 관계자는 “지난해 한국에서 번 돈이 4155억원인데, 올 한 해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금액만 5500억원”이라며 “작년 10월 미국 월 요금을 최대 12.5% 올린 데 이어 캐나다, 일본에서도 요금을 올렸다”고 했다.


5aa3977d124bd39ba3728389c6926df5_1637252811_1176.png
 

”’오징어’로 돈 벌고 망 대가 안 내면서 요금만 인상” 비판도


넷플릭스가 국내 제작 콘텐츠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 정작 책임은 회피하고 요금만 올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회당 제작 비용 240만 달러(약 28억4000만원)로 총 2140만 달러(약 253억원)를 들여 만든 ‘오징어 게임’ 가치를 8억9110만 달러(약 1조원)로 추산한다. 무려 41.7배 이익을 본 것이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계약 조건을 이유로 한국 제작사에 흥행에 따른 별도 보상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는 망이용료 대가 지불을 놓고도 여전히 국내 통신업체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국내 통신업체들은 넷플릭스로 인한 트래픽 폭증으로 막대한 통신망 증설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며, 넷플릭스가 이용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업체들도 망이용료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SK브로드밴드에 망 이용료를 지급하라는 법원 판결에도 불복하며 협상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 이달 초 방한한 딘 가필드 넷플릭스 부사장은 정부와 정치권을 찾아 “망 사용료를 낼 수 없다”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했다.


통신업계에서는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갑질을 하고 있다는 불만이 나온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통신요금은 계속 낮아지는 상황에서 망 설치 부담까지 통신업체들이 다 책임지고 있는데, 정작 수익은 넷플릭스가 다 가져가고 있다”면서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 요금까지 올리는 건 소비자에 대한 횡포”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에는 “넷플릭스를 끊겠다” “한국에서 번 돈이 얼마인데 고마운 줄 모른다”는 이용자들의 비판이 쏟아졌다.ㅣ조선일보ㅣ